겉에 있는 줄 알았는데, 안에 또 있다?👇👇🏼👇🏻그래서 우리는 this를 써요🧠 변수 섀도잉이란?같은 이름의 변수가 중첩된 범위(scope)에 다시 선언되어 바깥 변수를 가리는 현상즉, 밖에 선언한 변수와 안쪽(함수나 블럭 등)에 선언한 변수 이름이 같을 때,가까운(안쪽) 변수가 우선시되어 바깥 변수는 "섀도잉" 당합니다.⁉️ 왜 섀도잉이 문제일까?문제 상황설명🤯 값이 잘못 들어감의도한 바깥 변수가 아니라 안쪽 지역 변수에 값이 들어감🧪 디버깅 어려움"값을 설정했는데 왜 적용이 안 되지?" 하는 상황 발생👀 가독성 저하같은 이름이 중복되면 읽는 사람도 혼란✨ 섀도잉 in 4개 언어 + 해결 방법 정리🟨 Java: this 키워드로 해결public class User { String..